티스토리 뷰

이번 포스팅 내용으로는 출발지와 목적지 설정시 기름값 계산기 이용해서 확인하는 방법

관련하여 내용을 적어볼까 합니다.

이전에는 이러한 인터넷 산업이 발달하지 않아 이러한 부분은 상상할 수 없었지만,

누구나 출발전 예상 비용을 가측정 후 출발할 수 있으니 비용을 미리 예상해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도착시간 교통정보 등을 알고 가실 수 있다는 점에서 이익이 아닐 수 없습니다.

출발지와 목적지는 서울 그리고 부산으로 지정했습니다.

그리고 알아볼 플랫폼으로는 네이버지도 그리고 다음지도를 이용해볼것이며,

더욱 상세한 정보로는 다음지도가 유용하다고 느꼈으니 이점은 참고하시면 됩니다. 

기름값 계산기 이용하여 확인하고 출발하는 방법

조금 복잡하더라도 한번 알아두면 유용한 부분으로는

오피넷이 있습니다.

검색창에 오피넷을 입력 후 사이트 연결하면 해당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니 

이 부분은 참고하셔서 이용하시면 될것입니다. 

제가 이제부터 작성할 내용은 오피넷 확인방법이 아닌 지도 플랫폼을 이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것입니다. 

정확하게 기름값 계산기 내용은 아니지만, 계산기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가장 규모가 큰 국내 검색업체인 네이버의 플랫폼인 네이버지도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검색창에 네이버지도를 입력하면 연결할 수 있는 사이트가 확인되니 클릭합니다.

( 참고로 다음지도 역시 이와 마찬가지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출발지와 목적지 입력합니다. 

저는 서울 부산을 입력했더니 주유비가 대략 48,000원 정도가 확인됩니다.

그렇게 기름값 계산기 역할을 하는 부분에서 확인했으니 출발하면 되지 않나

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아닙니다.

이는 하단 그림에서 보는바와 같이 소형차 기준입니다. 

본인의 차가 소형차이면 상관없으나 그것이 아니라면 소용 없습니다. 


이번엔 다음에서 운영하는 플랫폼인 다음지도를 들어가보겠습니다. 

여기서 제가 더욱 세부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 유용할것이다. 라고 판단할 만한 내용이 있습니다. 

1종부터 6종까지 다양하게 클릭 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있어 상대적으로 유용할것입니다.

네이버지도측에 이런 정보가 있다면 죄송하게 생각합니다만, 찾질 못하겠더군요. 

이렇게 조금이라도 정확한 기름값 계산기 역할을 하는 플랫폼을 이용해서 확인하면 됩니다.

아래는 설정시 화면입니다. 

이렇게 두가지 기름값 계산기 역할을 하는 지도 플랫폼을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했습니다.

만약 단순히 최저가 주유소 등의 정보를 찾는다고 하면 오피넷을 이용하는게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이 외에도 내비게이션 app 혹은 내비게이션 이용시에도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무엇을 선택하여 이용할지는 우리 사용자의 몫이 아닐까 생각드네요.

이상 기름값 계산기 관련 포스팅이었습니다. 

댓글